[케이뱅크 IPO]①과거 실패 교훈 삼아 공모 구조 재정비…카카오뱅크 반등 '청신호'높은 투자자 기대치·실적 악화 '변수'…정교한 가격 책정 관건케이뱅크 본사 전경. [사진 케이뱅크][이코노미스트 정동진 기자] 케이뱅크가 세 번째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 두 차례 상장을 철회한 지 약 4개월 만에 대표 주관사를 재선정하고 상장 절차를 재개했다. 재무적 투자자(FI)와의 계약 이행 시점이 다가오는 가운데 최근 증시가 반등하자 상장 재추진에 나서는 것으로 해석된다.케이뱅크는 지난달 NH투자증권과 삼성증권을 공동 대표 주관사로 선정했다. 지난 두 차례의 상장 시도에서 주관사를 맡았던 KB증권과 외국계 증권사들은 이번 상장 과정에서 제외됐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인터넷은행과 금융업 전반에 대한 이해와 IPO 경험 등을 기준으로 주관사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이번 IPO 재추진의 배경에는 2021년 유상증자에 참여했던 재무적 투자자(FI)들과의 계약 조건이 있다. 당시 케이뱅크는 MBK파트너스, 베인캐피탈 등으로부터 약 7250억원을 유치하며 ‘2026년 7월까지 상장’ 조항에 합의했다. 만약 이 시점까지 상장이 이뤄지지 않으면 FI들은 풋옵션이나 동반매각청구권(드래그얼롱)을 행사할 수 있다. 특히 대주주인 BC카드가 일부 지분을 인수해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어, 시장에서는 이를 피하기 위한 상장 시도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과거 두 차례의 실패는 케이뱅크에 뼈아픈 교훈을 남겼다. 특히 올해 초 두 번째 시도는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둔 것이 결정적인 상장 무산의 이유가 됐다. 당시 케이뱅크는 카카오뱅크와 함께 해외 은행들을 비교 그룹으로 삼고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 2.56배를 적용해 최대 5조원에 달하는 기업가치를 제시했으나, 시장의 눈높이를 크게 벗어난다는 등의 고평가 논란에 직면했다. 여기에 공모 물량의 절반이 기존 재무적 투자자(FI)의 투자금 회수를 위한 구주매출로 채워진 점은 투자 매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케이뱅크는 이번 도전에서 이러한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공모 구조를 재정비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케이뱅크 IPO]①과거 실패 교훈 삼아 공모 구조 재정비…카카오뱅크 반등 '청신호'높은 투자자 기대치·실적 악화 '변수'…정교한 가격 책정 관건케이뱅크 본사 전경. [사진 케이뱅크][이코노미스트 정동진 기자] 케이뱅크가 세 번째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 두 차례 상장을 철회한 지 약 4개월 만에 대표 주관사를 재선정하고 상장 절차를 재개했다. 재무적 투자자(FI)와의 계약 이행 시점이 다가오는 가운데 최근 증시가 반등하자 상장 재추진에 나서는 것으로 해석된다.케이뱅크는 지난달 NH투자증권과 삼성증권을 공동 대표 주관사로 선정했다. 지난 두 차례의 상장 시도에서 주관사를 맡았던 KB증권과 외국계 증권사들은 이번 상장 과정에서 제외됐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인터넷은행과 금융업 전반에 대한 이해와 IPO 경험 등을 기준으로 주관사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이번 IPO 재추진의 배경에는 2021년 유상증자에 참여했던 재무적 투자자(FI)들과의 계약 조건이 있다. 당시 케이뱅크는 MBK파트너스, 베인캐피탈 등으로부터 약 7250억원을 유치하며 ‘2026년 7월까지 상장’ 조항에 합의했다. 만약 이 시점까지 상장이 이뤄지지 않으면 FI들은 풋옵션이나 동반매각청구권(드래그얼롱)을 행사할 수 있다. 특히 대주주인 BC카드가 일부 지분을 인수해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어, 시장에서는 이를 피하기 위한 상장 시도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과거 두 차례의 실패는 케이뱅크에 뼈아픈 교훈을 남겼다. 특히 올해 초 두 번째 시도는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둔 것이 결정적인 상장 무산의 이유가 됐다. 당시 케이뱅크는 카카오뱅크와 함께 해외 은행들을 비교 그룹으로 삼고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 2.56배를 적용해 최대 5조원에 달하는 기업가치를 제시했으나, 시장의 눈높이를 크게 벗어난다는 등의 고평가 논란에 직면했다. 여기에 공모 물량의 절반이 기존 재무적 투자자(FI)의 투자금 회수를 위한 구주매출로 채워진 점은 투자 매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케이뱅크는 이번 도전에서 이러한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공모 구조를 재정비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공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