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재채용
  • 채용 Q&A

채용 Q&A

제목
[파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등록일
2025-04-09
조회수
2

본문

[파이낸셜뉴스] 국제 유가가 8일(현지시간) 미국과 중국간 관세전쟁 심화 우려로 나흘째 급락했다. 사진은 2015년 8월 3일 리비아 바우리 유전의 해상 석유 플랫폼. 로이터 연합 국제 유가가 8일(현지시간) 또다시 급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부터 중국 수입품에 104% 추가 관세를 물리기로 했다는 발표가 유가 급락을 불렀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7일 중국이 미국의 상호관세에 맞서 10일부터 물리기로 한 34% 보복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취임 초 20%, 2일 상호관세 34%에 더해 50%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마감시한을 12시간을 줬고, 중국이 보복관세를 철회하지 않자 결국 이날 모두 104% 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했다. 세계 1, 2위 경제국인 미국과 중국이 서로 물러서지 않고 관세전쟁을 지속하면서 세계 경기 침체 우려가 고조돼 결국 유가가 또 급락했다. 국제 유가 기준물인 브렌트유는 6월 인도분이 전장 대비 1.39달러(2.16%) 급락해 배럴당 62.82달러로 미끄러졌다. 미국 유가 기준물인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60달러 선이 무너졌다. WTI는 근월물인 5월 물이 1.12달러(1.85%) 급락한 배럴당 59.58달러로 마감했다. 국제 유가는 3일 이후 나흘 동안 폭락했다. 브렌트는 이 기간 16.5%, WTI는 18.3% 폭락했다.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편집자주 일상이 된 여행. 이한호 한국일보 여행 담당 기자가 일상에 영감을 주는 요즘 여행을 소개합니다. 전북 완주군 만경강 제방길에 화사하게 핀 벚꽃 아래로 자전거를 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만경강 제방길에 핀 벚꽃 뒤로 강과 습지가 보인다. 전북 군산·익산·김제·전주·완주 등 5개 지역을 관통하는 만경강 벚꽃길이 되살아났다. 한때 전국 최고의 벚꽃 명소로 꼽혔지만 2000년대 들어 최초 식재된 벚나무의 수명이 다하면서 일대를 찾는 상춘객의 발길도 뜸해졌다. 하지만 벚나무들이 다시 자리를 잡고, 전 구간 자전거 전용도로가 설치되면서 '벚꽃 라이딩' 명소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만경강 벚꽃길은 일제 수탈의 아픈 역사에서 시작됐다. 만경강을 따라 군산과 전주를 잇는 구간인 26번 국도는 일제강점기 시절 '전군가도'라 불렸다. 일제가 호남 평야에서 수탈한 작물을 수송하기 위해 1908년 닦은 한반도 최초의 포장도로였다.전군가도가 벚꽃길로 재탄생한 건 1975년. 전북 출신 재일교포들이 아픈 역사를 기억하기 위해 성금을 모아 국도변에 벚나무 6,435그루를 심었다. 눈부시게 흰 벚꽃이 만경강을 따라 100리(39.27㎞)나 이어져 '100리 벚꽃길'로 불렸다. 전국에 벚꽃이 만개하는 4월, 자전거를 타고 만경강을 따라 흐드러지는 흰 벚꽃길을 달렸다.벚꽃과 물억새 보며 라이딩 한 시민이 만경강 북측 제방 벚꽃길을 달리고 있다. 자전거를 탄 시민이 전북 익산시 만경강 자전거도로를 달리고 있다. 만경강 벚꽃길은 26번 국도가 만경강을 건너는 만경교(익산·김제시)에서부터 강 제방을 따라 완주군 고산면 양화교 인근까지 약 30㎞ 이어진다. 대부분 번영로가 쇠락한 2000년대 초부터 시작된 새만금 유역 생태 숲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심은 나무들이다.이 중에서 벚꽃 자전거길로 이름난 구간은 익산-전주를 잇는 만경교-삼례교 구간. 만경강을 기준으로 서쪽 구간이 구(久) 벚꽃길. 현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