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재채용
  • 채용 Q&A

채용 Q&A

제목
미국·영국 보안 투자 25%인데 우리는 6%,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등록일
2025-05-11
조회수
13

본문

미국·영국 보안 투자 25%인데 우리는 6%, 초라한 성적표보안은 경쟁력…여전히 비용 중심으로 인식하는 한계보안 전문가들 "기업과 사회 전반에 내재된 '문화'로 정착시켜야"[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6일 서울시내 SKT 매장에 유심 교체 안내문이 붙어있다.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사태의 파장이 계속되저 유통·물류업계도 보안을 강화하고 나섰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 롯데마트 등은 계열사들의 통합아이디 서비스에서 SKT와 SKT 알뜰폰 고객의 본인인증을 중단했다. CJ대한통운과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물류업계도 시스템 보안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2025.05.06. jhope@newsis.com[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SK텔레콤은 해킹으로 가입자 유심(USIM) 정보가 유출됐다. 현재까지 유출이 확인된 개인정보는 이용자의 휴대전화번호, 가입자식별번호(IMSI), 유심 인증키 및 기타 유심 관련 정보 등 총 25종에 달한다.#잡코리아는 아르바이트 구인구직 플랫폼 알바몬 서비스의 '이력서 미리보기'기능에서 비정상 접근시도를 통해 이력서 정보가 유출된 사실을 인지하고 관계기관에 신고했다.#CJ그룹의 IT 계열사인 CJ올리브네트웍스의 디지털 인증서가 해킹으로 유출된 사실이 드러났다. 이 인증서는 코드사인(Code Signing) 인증서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거나 배포할 때 사용한다.이처럼 최근 주요 기업에서 해킹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보안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보안 투자와 인식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라는 지적이 나온다.정보호보 투자 단 6%뿐…'성숙'단계도 3%에 그쳐최근 발표된 시스코 '2025 사이버보안 준비 지수'에 따르면, 국내 기업 가운데 사이버보안 위협에 충분히 대응할 준비가 된 '성숙 단계'에 이른 곳은 단 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국내 기업의 보안 수준은 ▲성숙3% ▲발달 17% ▲형성 52% ▲초기 28%로 집계됐다. 전년도 대비 성숙 단계는 1%p 감소했고, 초기 단계는 3%p 증가해 전반적인 준비 수준이 후퇴한 모습이다. 이에 따라 응답자의 4미국·영국 보안 투자 25%인데 우리는 6%, 초라한 성적표보안은 경쟁력…여전히 비용 중심으로 인식하는 한계보안 전문가들 "기업과 사회 전반에 내재된 '문화'로 정착시켜야"[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6일 서울시내 SKT 매장에 유심 교체 안내문이 붙어있다.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사태의 파장이 계속되저 유통·물류업계도 보안을 강화하고 나섰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 롯데마트 등은 계열사들의 통합아이디 서비스에서 SKT와 SKT 알뜰폰 고객의 본인인증을 중단했다. CJ대한통운과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물류업계도 시스템 보안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2025.05.06. jhope@newsis.com[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SK텔레콤은 해킹으로 가입자 유심(USIM) 정보가 유출됐다. 현재까지 유출이 확인된 개인정보는 이용자의 휴대전화번호, 가입자식별번호(IMSI), 유심 인증키 및 기타 유심 관련 정보 등 총 25종에 달한다.#잡코리아는 아르바이트 구인구직 플랫폼 알바몬 서비스의 '이력서 미리보기'기능에서 비정상 접근시도를 통해 이력서 정보가 유출된 사실을 인지하고 관계기관에 신고했다.#CJ그룹의 IT 계열사인 CJ올리브네트웍스의 디지털 인증서가 해킹으로 유출된 사실이 드러났다. 이 인증서는 코드사인(Code Signing) 인증서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거나 배포할 때 사용한다.이처럼 최근 주요 기업에서 해킹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보안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보안 투자와 인식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라는 지적이 나온다.정보호보 투자 단 6%뿐…'성숙'단계도 3%에 그쳐최근 발표된 시스코 '2025 사이버보안 준비 지수'에 따르면, 국내 기업 가운데 사이버보안 위협에 충분히 대응할 준비가 된 '성숙 단계'에 이른 곳은 단 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국내 기업의 보안 수준은 ▲성숙3% ▲발달 17% ▲형성 52% ▲초기 28%로 집계됐다. 전년도 대비 성숙 단계는 1%p 감소했고, 초기 단계는 3%p 증가해 전반적인 준비 수준이 후퇴한 모습이다. 이에 따라 응답자의 46%는 "1~2년 내 보안 사고로 인해 비즈니스에 차질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런데도 전체 기업의 93%가 IT 인프라 업그레이드를 계획하고 있지만, 사이버보안에 IT 예산의 10% 이상을 투입한 기업은 33%에 불과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계에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