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동훈 국민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등록일
2025-04-26
조회수
17
관련링크
본문
한동훈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경선 후보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동 선거사무소에서 캠프 인선 등 현안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선 1차 컷오프를 거쳐 후보 4명이 2차 경선 레이스를 펼치는 가운데 ‘누가 국민의힘 후보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지’ 여론조사를 벌인 결과 한동훈 후보가 19%를 기록해 선두를 달렸다. 25일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이 YTN 의뢰로 지난 23일부터 이틀 동안 전국 유권자 10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한 후보에 이어 홍준표 후보 16%, 김문수 후보 14%, 안철수 후보는 12%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따로 떼어 살핀 결과에서는 김 후보와 한 후보가 25%로 동률로 나타났다. 이어 홍 후보와 안 후보 순이었다.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을 따로 뗀 이유는 국민의힘이 2차 경선에서 당원 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를 반영하고, 민주당 등의 지지자를 빼는 이른바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지지 정당이 국민의힘이라고 답한 응답자로도 좁힌 결과에서는 김 후보 31%, 한 후보 29%로 나타났다. 그 뒤를 홍 후보, 안 후보 순으로 추격했다. 보수 색채가 강한 대구·경북지역의 경우 홍 후보가 30% 지지율로 앞섰고 김 후보, 한 후보, 안 후보가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무선전화면접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8.0%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임정환 기자 출생아 수가 두달 연속 2만명을 넘으며 전국적인 반등세를 보였지만, 제주지역 인구는 여전히 줄고 있습니다.특히 저출생 고령화 문제가 심각한데요,내년엔 65세 이상 노인 인구비율이 20%를 넘어설 것으로 에상되고 있습니다.말 그대로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되는 것인데,출산율은 해마다 떨어지면서 고령화는 코앞에 닥친 위기, 어떤 대책들이 필요할까요? 신효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리포트)아파트 1층 공간에 마련된 영유아 돌봄시설입니다.자원봉사자 대학생과 이웃 어르신들이 육아에 힘을 보탭니다.지자체가 마련한 이 시설에선 오전 7시부터 자정까지 돌봄이 가능합니다.강원도 인제군에서는 누구나 언제든 20분안에 아이를 맡길 수 있는 무료 돌봄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이은옥/학부모"훨씬 편하죠. 걱정없이 할 수 있으니까. 일을 볼 수 있으니까요. 제가 큰 애도 보내봤고 지금 둘째도 보냈는데요. 좋아요. 프로그램도 잘 돼 있어서."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둔 제주에서도 돌봄 위주의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습니다.제주자치도의회 저출생.고령화 대책 특별위원회가 전문 기관에 의뢰해 대안 마련에 나섰습니다.우선, 저출생 문제 해소를 위해선 결혼과 임신, 육아 지원을 위한 정보를 통합 제공하고 난임 치료 지원 역시 지원범위를 구체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김홍철/(사)가치잇다 이사장"경제적 지원보다는 실질적인 서비스를 많이 원하더라고요. 예를들면 세대가 함께 할 수 있는 지원, 임산부들이 이동하는데 편리하도록 하는 지원 등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지원을 많이 원하고 있습니다."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과제로는 경로당이나 주민센터를 중심으로한 건강돌봄서비스와 노인 심리상담을 강화하는 방안과 복합문화체육공간 조성등이 제시됐습니다.김재희/제주연구원 고령사회연구센터장"기존에는 질환을 관리하는 차원의 건강 증진 정책들이 많이 추진됐던 것 같고 그렇기 때문에 예방적인 관점에서 건강증진에 대한 정책이 변화돼야 한다는 내용을 과제에 제안했습니다."특히, 일부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조부모 돌봄 수당을 제주에서도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저출산.고령화 대책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됐습니다.이밖에 부서별로 흩어져 있는 저출산, 고령화 관련 정책을 통합하는 일 역시 주요한 과제로 손꼽혔습니다.JIBS 신효은입니다.영상취재 오일령JIBS 제주방송 신효은(yunk98@jibs.co.kr) 오일령(reyong510@naver.com) 기자
- 이전글 ▲
- 미래의 우리: 기술과 혁신의 역할
- -
- 다음글 ▼
- 자유와 제약: 삶의 균형을 찾는 여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