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재채용
  • 채용 Q&A

채용 Q&A

제목
[키이우=AP/뉴시스] 27일(현지 시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등록일
2025-06-29
조회수
5

본문

[키이우=AP/뉴시스] 27일(현지 시간)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열린 ‘러시아 제재 강화 국제회의’ 참가자들이 손상된 이란제 드론 '샤헤드'를 살펴보고 있다. 2025.06.28. 한일회담이란 무엇인가?현재 한일 양국은 경제, 외교, 문화, 관광 등 다방면에 걸쳐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강제동원문제, 일본군 '위안부'문제, 독도 문제, 그리고 이 칼럼의 문화재 반환 문제 등 과거사와 얽힌 역사인식문제로 인해 양국의 대립과 마찰이 부각되어 온 것도 사실이지만, 양국은 긴 세월 동안 우호와 협력 관계를 구축해 왔다.한일 양국이 지금과 같은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계기는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바로 60년 전인 1965년 6월 22일의 한일국교정상화가 그 출발점이다. 한일 양국의 국교가 정상화되기 이전에는 지금과 같이 특명전권대사도 대사관도 없었고 민간인들이 자유롭게 왕래할 수도 없었다. 국교가 수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한일 양국은 광복과 한국전쟁, 패전과 GHQ의 점령이라는 국가적 대변혁기 속에서 과거사 문제 해결과 새로운 외교 관계 수립을 통해 양국의 국교를 정상화하기 위한 회담을 개최했다. 이것이 바로 '한일국교정상화 회담'(이하, 한일회담)이다. 그리고 이 한일회담을 통해서 한일기본조약 및 4개의 부속 협정이 1965년 6월 22일에 체결되면서 한일 양국은 국교를 정상화했다. ▲ 이승만 대통령이 제2차 한일회담 개최 3개월 전에 일본을 방문하여 요시다 시게루 총리(가운데)와 만나고 있다(1953년 1월 5일~1월 7일). ⓒ 국가기록원 한일회담에서는 ① 기본관계문제(1910년 이전에 조선과 일본이 체결한 조약과 협정의 효력 여부 등 논의), ② 청구권 문제(일제강점기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 보상 논의), ③ 문화재 반환 문제(일본으로 반출된 문화재 반환 논의), ④ 선박 문제(일본이 가져 간 조선적<朝鮮籍> 선박의 반환 논의), ⑤ 재일한국인 법적지위 문제(일제강점기 이래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재일한국인들의 법적지위 논의), ⑥ 어업 문제(전관수역<專管水域>과 공동규제수역, 평화선 등 논의)가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한일 양국은 그 결과가 나올 때까지 약 14년의 세월을 필요로 한 만큼 한일 양국은 수없이 많은 회의를 거치며 치열한 외교전을 펼쳤다. 그리고 1965년 6월 22일에 한일기본조약 및 4개의 부속 협정(상기 ② 청구권 문제~⑥ 어업 문제 중 선박 문제를 제외한 협정들)을 체결하면서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