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서울 강남구 개포동의 한 아파트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등록일
2025-06-14
조회수
4
관련링크
본문
서울 강남구 개포동의 한 아파트 단지 외벽에 파크골프장 건립 반대 현수막이 걸려 있다. /김도균 기자 “공이 오늘따라 잘 맞네.” “굿 샷!”지난 8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탄천의 파크골프장에서 선글라스와 팔 토시를 착용한 60~70대 남녀 어르신 네 명이 순서대로 공을 때렸다. 파크골프는 공원처럼 작은 공간에서 골프보다 짧은 거리를 치는 ‘미니 골프’다. 김보애(70)씨는 “가벼운 운동으로 건강도 챙기고 친구도 사귀니 노인들에겐 이만한 취미가 없다”며 “골프장 온라인 예약이 ‘하늘의 별 따기’라 손주가 도와줘서 겨우 잡았다”고 했다. 면적 2만4552㎡(약 7400평)로 서울 최대 규모인 탄천 파크골프장은 9홀짜리 3개 코스를 운영하고 있다. 골프장 관계자는 “예약이 힘들다는 민원이 빗발쳐 두 달 전부터 운영 횟수를 늘렸다”고 했다.일반 골프장은 홀 사이 거리가 약 130~500m지만, 파크골프장은 40~150m 정도다. 일반 골프와 달리 전용 미니 골프채 1개만 있으면 된다. 입장료도 5000원 미만으로 저렴해 급속도로 중장년층의 인기 스포츠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런데 파크골프장이 우후죽순 들어서면서 전국 곳곳에서 “특정 연령대만을 위한 공간을 왜 짓느냐” “가족이 아이들과 함께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든다”는 항의가 거세지고 있다. 비수도권 농촌 지역에서도 파크골프장 건설이 추진되면서 농민들의 반발이 나오고 있다. 서울의 한 구청 관계자는 “중장년층의 여가 시설을 확대하자는 취지인데 ‘세대·도농(都農) 갈등’이 벌어지는 상황”이라고 했다.8일 오후 서울 마포구 월드컵공원의 한 파크골프장에서는 “오늘도 재밌게 치고 갑니다”라며 80여 명의 노인이 골프를 즐긴 뒤 골프장을 떠나고 있었다. 서울시는 이곳으로부터 300m 떨어진 캠핑장 일부 부지에 18홀짜리 파크골프장을 추가로 짓기로 하고 지난달부터 공사를 시작했다. 캠핑장 들판에 성인 남성 허리까지 올라오는 안전 펜스와 ‘접근 금지’라고 적힌 테이프가 붙어 있었다.캠핑장 부지 일부에 파크골프장을 만든다는 소식에 아이 키우는 부모들과 노년층 반응은 갈렸다. 이날 가족들과 캠핑장을 찾은 윤상윤(49)씨는 “서울에 아이들이 맘 편히 뛰놀 공간이 안 그래도 많지 않은데 이곳을 더 줄이고 골“여성 비정규직, 1년 중 145일째부터 무급입니다” 2024년 기준, 여성 비정규직의 월 평균임금은 169만 원으로, 남성 정규직의 430만 원에 비해 39.4%에 불과합니다. 이를 연간으로 환산하면, 여성 비정규직은 1년 중 144일만 임금을 받고, 145일째부터는 무급으로 일하는 셈입니다. 그래서 올해 5월 25일은 '임금차별타파의 날', 5월 25일부터 5월 31일의 한 주는 '임금차별타파주간'이었습니다. 성별임금격차와 여성노동현실, 이제는 바뀌어야 합니다. 새 정부에서 성평등 노동을 바라는 목소리, 2025 임금차별타파주간 연속기고기사로 만나봅니다. <기자말>[한국여성노동자회] 지난 5월 27일, 임금차별타파주간을 맞아 마산·창원 지역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여성노동자들의 절박한 요구가 쏟아졌다. 윤석열 파면 이후 치러진 조기대선을 일주일 앞두고 진행된 이 기자회견은 단순한 정권교체를 넘어 사회대개혁과 성평등 노동 실현을 요구하는 목소리의 자리였다. 이제 대선은 끝났고 새 정부가 출범했다. 이들의 요구는 새 정부의 과제가 되어 있다. ▲ 2025 임금차별타파주간을 맞이하여 마산·창원에서 열린 기자회견 현장 사진ⓒ 마창여성노동자회"OECD 1위 성별임금격차,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김순희 전국금속노조 경남지부 부지부장은 윤석열 정부 하에서 구조적 성차별이 부정되면서 성평등 노동이 후퇴했다고 지적했다. "여성가족부 폐지와 성차별 부정이라는 괴변 아래 여성노동자는 더 가난해졌고, OECD 1위 성별임금격차는 더욱 벌어졌다"고 비판했다. 여성노동자를 향한 혐오범죄와 불안정 노동도 함께 심화됐다고 했다.김 부지부장은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성평등 공시제 법제화를 촉구했다. 성평등 공시제는 기업의 성별임금을 투명하게 공개해 기업의 책임을 묻고, 개선을 유도하는 제도다. 독일, 영국, 프랑스, 스웨덴 등 OECD 주요국들은 이미 도입해 성평등 수준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리고 있다.최저임금 역시 핵심 사안으로 제기됐다. 김 부지부장은 "최저임금이 여성노동자의 기준임금이 되고 있다"며, 실질임금 인상을 위해 생활임금 수준으로의 대폭 인상과 최저임금 물가연동제 도입을 요구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50만 원 이하의 저임금 여성노동자
- 이전글 ▲
- ‘헌혈왕’ 허명씨가 2003
- -
- 다음글 ▼
- 평화로운 나라: 다양한 문화의 조화
- -